상위문서 : 생산자동화
필수참고문서 :
1.개요
이미 만들어진 물품이 어떠한 이유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폐기 처분을 하거나 제 기능을 하게 수리해야한다. 재제조란 여기서 폐기 처분을 하기보다는 제 기능을 하게 수리하는 것을 중점으로 둔 체계를 말한다. 제재조의 특성상 싼 물품보다는 가격이 좀 되는 물품에 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. 예를 들어 보통 대기업 소속 스마트폰 A/S업체에서는 스마트폰의 수리를 맡기면 리퍼폰이라는 임시 스마트폰을 주는데 이 리퍼폰이 보통 제조과정에서 품질이 나쁜거나 문제있는 제품을 제재조한 것이다.
제재조 산업은 잠재가치가 무궁무진한 분야이다.
(출처 : http://rlmagazine.com/edition74p24.php)
재제조 형태는 크게 4가지가 있는데
(출처 : http://rlmagazine.com/edition74p24.php)
재제조 형태는 크게 4가지가 있는데
- 단순 재제조 : 재제조된 제품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고, 단순히 재제조하는 것
- OEM 재제조 : 주문을 한 원제조업자가 하청업체의 재제조제품에 대하여 품질보증을 해주는 것
- 제 3자 재제조 : 재제조업체가 책임을 지는 재제조 형태
- 통합 재제조 : 신제품과 재제조품을 한 기업체내에서 병행하는 것
여기서 제 3자 재제조가 전체의 약 80%를 차지하며 OEM 재제조가 10%를 차지한다.
2. 재제조 과정 및 평가
재제조 과정은 다음 순서로 진행된다.
분해->세척->검사/분류->수리/조정->재조립
여기서 어떤 물건이 재제조하는데 적합한 물건인지를 생각해봐야하는데 이것을 재제조성 평가라고 한다. 모든 물건은 설계를 할 때 재제조를 염두해두고 제조를 하지 않는다. 따라서 재제조성 평가는 물품이 재제조되는 시점에서 평가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편이 많다.
평가에는 위의 5가지 과정이 있는 것처럼 5가지 평가가 있다.
분해용이성->세척용이성->검사용이성->수리용이성->재조립용이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