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정수행계획 자동화(Process Planning Automation)
1.개요
공정수행계획 자동화는 제품을 만들 때 필요한 기계나 도구를 자동으로 세팅(setting)해주고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공정의 설계를 자동으로 도출하는 것이다.
먼저 공정수행계획을 위해 고려해야될 점은 다음과 같다.
- 생산 단위 공정의 종류와 정의
- 단위 작업장에 투입되는 생산 리소스를 파악(로봇,도구,사람)
- 단위 작업장들 간의 연결 체계
- 표준작업시간, 취급시간, 가공시간
- 기존 수행한 공정설계 자료의 참조
이러한 요소를 파악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한다.
- 제품의 분석
- 단위 공정에서 수행되는 기능 수행체의 분석
- 공정 수행에 있어서 취약점 분석
- 취약점 해결을 위한 대안의 구축
- 대안들의 평가 또는 수치화
- 최적 공정 결정
이것을 따로 정리한 분야를 그룹 테크놀러지(Group technology)라 하는데 따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만큼 분량이 많으니 간략하게 소개한다.
2.부품군
3. 작업지시서
공정수행계획의 최종 결과물은 작업지시서(Process sheet)이다. 이 작업지시서를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작업 지시서를 작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. 꼭 이 방법을 따라야하는 것은 아니다.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.
1. 주어진 과제 정보 파악
- 제품의 구조
- 부품의 개수 및 재질
- 공정의 종류
2. 저장되어 있는 기존 수행되었던 공정도 분석
- 생산되었던 제품의 특징
- 수행되었던 공정의 종류
- 사용되었던 기계 및 tool의 종류
3. 추가 및 변경되는 공정의 결정
- 새로운 제품의 특성에 따른 공정의 추가
- 새로운 제조 방법의 추가
- 새로운 기계 및 공구의 적용
4. 기존의 공정도에 변경되는 공정의 추가
- 새로운 제품을 위한 추가된 공정의 삽입
작업지시서에는 다음 정보가 있어야한다.
표준 작업 시간을 결정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.
-제품의 특성
-생산시스템의 종류
-생산자동화 정도(DOA : Degree of Automatic)
-작업자에 투입된 작업자의 수
-생산 제품의 수(lot size)
여기서 표준 작업 시간은 워크팩터(work factor)로 정할 수도 있으나 직접 측정한것 보다 훨씬 부정확하다.
on 2017년 6월 5일 월요일
|
A comment?
0 responses to “공정수행계획 자동화(Process Planning Automation)”